2025/07/13 3

의료폐기물 관련 커리어는 어떤 일일까?

“의료폐기물 관련 일을 한다고요? 그게 직업이 돼요?” 아마 처음 들었을 때 많은 분들이 이렇게 반응하셨을지도 모릅니다. 의료폐기물이라는 단어만 들으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위험하거나 혹은 단순하고 반복적인 작업이라는 편견이 따르기 쉽습니다. 하지만 실제 의료폐기물 관련 직무들은 단순히 ‘쓰레기를 버리는 일’이 아닙니다. 이 분야는 위생, 법률, 환경과 행정이 모두 얽힌 고도의 전문 영역이며 우리 사회에서 결코 없어서는 안 될 공공성과 안전성을 함께 지닌 직업군입니다. 최근에는 ESG(환경·사회·지배 구조) 경영과 감염병 대응 강화 등 사회적 흐름에 따라 의료폐기물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그에 따라 관련 커리어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단지 병원 안에서만 일어나는 일이 아니라 전국 의료체계와 ..

의료폐기물 2025.07.13

미래형 병원에서 의료폐기물은 어떻게 사라질까?

최첨단 로봇 수술이 도입되고, AI가 진단을 내리며, 원격의료가 상용화되는 시대. 병원은 기술 발전의 상징이자 미래 산업의 핵심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놀라운 변화 속에서도 의료폐기물 처리 방식은 수십 년째 큰 변화를 겪지 못하고 있습니다. 감염성 위험, 독성 약물, 혈액과 체액이 묻은 일회용품들. 이와 같은 의료폐기물의 대부분은 고온 소각 방식으로 처리되며 그 과정에서 유해 물질과 온실가스가 발생합니다. 즉, 병원은 사람의 건강을 지키는 동시에 지구의 건강에는 위협이 되는 모순적인 존재가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환경 문제와 지속가능성이 사회 전반에 중대한 화두로 떠오른 지금 의료기관 역시 이중적인 역할을 인정하고 의료폐기물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합니다. 특히 "미래형 병원"이라면 진료..

의료폐기물 2025.07.13

의료폐기물과 ESG, 병원도 ESG 보고서를 써야 할까?

우리는 병원을 떠올릴 때 치료와 회복, 청결과 전문성을 먼저 떠올립니다. 그러나 동시에 병원이라는 공간은 막대한 자원과 에너지를 소비하고, 의료 행위가 끝난 자리마다 위험성과 환경 부담이 높은 의료폐기물이 끊임없이 발생하는 장소이기도 합니다. 특히 감염성 폐기물, 예리한 물품, 약물 잔류물 등은 특수한 방식으로만 처리되어야 하며 대부분은 고온 소각이라는 방식으로 폐기됩니다. 이 과정은 탄소 배출, 대기오염, 자원낭비 등의 부작용을 동반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랫동안 병원은 “사람을 살리는 곳”이라는 이유로 그 환경적 영향력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무관심했던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제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기후 위기, ESG 경영 확산, 글로벌 보건 연대 강화 등으로 인해 의료기관도 환경..

의료폐기물 2025.07.13